>
리안과의 짧은 만남 긴 여운
리안과의 짧은 만남 긴 여운
刻舟求劍(각주구검)_그때 그 자리에 아직도
刻새길 각칼이나 도구로 무엇인가를 새기다, 표시하다舟배 주강이나 물 위를 떠다니는 배求구할 구찾다, 구하다, 얻고자 하다劍칼 검검(劍), 날이 있는 무기, 검 강물 위에 칼을 빠뜨린 한 사내가 있었다.그는 칼이 빠진 자리를 잊지 않기 위해 배 옆에 표식을 했다.그리고는 배를 멈춘 뒤, 표시가 있는 자리 아래 물속을 뒤지기 시작했다.물론 칼은 거기에 없었다.왜냐하면 배는 흘러갔고, 물도 흘렀기 때문이다.이 이야기가 바로 고사성어 ‘각주구검’이다.이 고사는 『여씨춘추(呂氏春秋)』 찰락편(察今篇)에 등장하며,‘흐르는 물에 칼이 빠졌는데, 배에 표시를 새기고 칼을 찾는다’는 뜻에서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과거 방식에 머무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지금, 우리도 그 검을 찾고 있는 건 아닐까살다 보면,우리는..
2025. 3. 26.
우리가 몰랐던 궁녀의 진짜 삶_궁녀는 평생 궁에만 있었을까?
드라마 속 궁녀는 대개 조용히 뒷걸음치고, 절을 하고, 목소리를 죽이는 인물이다.궁중의 질서를 지키는 조연, 왕과 왕비의 그림자 같은 존재.하지만 현실의 궁녀는 훨씬 더 복잡하고, 더 인간적이며, 때로는 조선 왕조의 무게를 지탱한 사람들이었다.그리고 그들의 삶은 ‘들어오면 죽을 때까지 나가지 못하는’ 운명도 아니었다.궁녀는 어떻게 뽑혔을까?조선의 궁녀는 자원봉사자도, 전업 하녀도 아니었다.‘궁녀’는 국가가 선발하고, 훈련시키고, 배치한 국가 여성 관료 조직의 일원이자, 왕실 운영의 실무자였다.대체로 8세~13세 사이의 양민 또는 천민 출신 소녀들이 선발되어 입궁했으며,이들은 처음에는 ‘궁녀’가 아닌 ‘궁인’이라는 넓은 범주의 신분으로, 내명부 하위 계층에 배속되었다.입궁 후 일정 기간 동안 예절, 용어,..
2025. 3. 24.
우물 대신 등장했던 펌프, 그리고 마을 공터의 수도
물을 길러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손만 뻗으면 정수기에서 찬물이 콸콸 나오는 지금, 우리는 물의 고마움을 잊기 쉽다.하지만 한 세대 전만 해도, 물은 ‘구해야 하는 것’이었다.그 시절, 마을마다 물을 둘러싼 풍경은 다정했고, 때로는 고단했으며, 무엇보다 사람을 잇는 고리였다.우물에서 시작된 물의 역사한국 농촌과 골목의 가장 오래된 물 공급 방식은 우물이었다.땅을 깊게 파서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이 방식은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왔고,‘마을의 중심에는 항상 우물이 있다’는 말처럼,우물은 단순한 물 공급처가 아니라 소통과 공동체의 상징이기도 했다.여인들은 그곳에 모여 빨래를 하고, 아이들은 그 옆에서 물장구를 치며 놀았다.두레박 줄을 당기며 듣던 물소리, 우물가에 앉아 나누던 수다,그리고 그 곁에서 자란 아이들..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