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사성어' 태그의 글 목록
'고사성어' 태그의 글 목록
청출어람 (靑出於藍)_쪽빛보다 더 푸른 제자
‘청출어람(靑出於藍)’은 쪽에서 나온 푸른색이 오히려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이다. 스승에게 배운 제자가 더 뛰어난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상징하며, 순자의 『권학편』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이 고사는 단순한 염색의 원리를 넘어, 배움과 성장의 가치를 담고 있다. 오늘날에는 후배의 성장이나 제자의 성공을 칭찬하거나, 노력 끝에 스승을 능가한 성과를 인정할 때 자주 쓰인다.청출어람은 배움의 힘, 성장의 가능성, 그리고 겸손한 존중을 일깨우는 고사성어이다. 한자: 靑(청, 푸를 청) 出(출, 나오다 출) 於(어, ~에서) 藍(람, 쪽 람)음독: 청출어람뜻: ‘푸른색은 쪽풀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날 때 주로 쓰는 고사성어이다.청출어람의 유래와 배경 이야기청출어람은 본래..
2025. 6. 19.
刻舟求劍(각주구검)_그때 그 자리에 아직도
刻새길 각칼이나 도구로 무엇인가를 새기다, 표시하다舟배 주강이나 물 위를 떠다니는 배求구할 구찾다, 구하다, 얻고자 하다劍칼 검검(劍), 날이 있는 무기, 검 강물 위에 칼을 빠뜨린 한 사내가 있었다.그는 칼이 빠진 자리를 잊지 않기 위해 배 옆에 표식을 했다.그리고는 배를 멈춘 뒤, 표시가 있는 자리 아래 물속을 뒤지기 시작했다.물론 칼은 거기에 없었다.왜냐하면 배는 흘러갔고, 물도 흘렀기 때문이다.이 이야기가 바로 고사성어 ‘각주구검’이다.이 고사는 『여씨춘추(呂氏春秋)』 찰락편(察今篇)에 등장하며,‘흐르는 물에 칼이 빠졌는데, 배에 표시를 새기고 칼을 찾는다’는 뜻에서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과거 방식에 머무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지금, 우리도 그 검을 찾고 있는 건 아닐까살다 보면,우리는..
202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