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2 우표: 작은 종이 위에 담긴 제국과 민중의 역사 우리는 이제 편지를 거의 쓰지 않는다. 손글씨보다 더 빠르고 편한 도구들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기 전, 사람들은 편지를 통해 사랑을 고백하고, 안부를 전하며, 오랜 소식을 나누었다. 그리고 이 모든 ‘편지’에는 조용히 붙어 있던 작은 종이 한 장이 있었다. ‘우표’라는 이름의 이 조각은 단지 요금을 의미하는 표식이 아니었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와 국가의 상징, 개인의 추억과 제국의 야망을 고스란히 품은 조용한 증인이었다.우표의 발명, ‘불편함’에서 시작되다1840년, 산업혁명으로 분주했던 영국. 편지 제도에는 큰 문제가 있었다. 편지 요금을 받는 사람이 부담해야 했고, 요금 체계가 복잡하여 많은 불편을 초래했다. 이런 현실을 바꾸고자 나선 인물이 바로 로랜드 힐(Sir Ro.. 2025. 3. 26. ‘팬(Pan)’,공황(panic)의 어원 우리는 일상 속에서 ‘팬(pan)’이라는 단어를 아주 자연스럽게 만난다.팬데믹(pandemic), 팬아시아(pan-Asia), 팬케이크(pancake),심지어 팬오케스트라(pan-orchestra) 같은 표현까지도.‘팬’이 붙으면 왠지 범위가 넓어지고, 모두를 아우르는 느낌이 든다.하지만 이 단어의 뿌리를 하나하나 들춰 보면, 단순히 ‘전체’를 의미하는 접두사 이상의 무언가가 보인다.그 바탕엔 고대 그리스의 자연신 ‘판(Pan)’의 흔적이 숨어 있다.어원의 출발점 – 고대 그리스어 ‘πᾶν (pan)’‘팬(pan-)’은 고대 그리스어 ‘πᾶν (pan)’, 즉 ‘모든 것(all)’에서 유래했다.이 단어는 ‘pas’(모든)의 중성형으로, 라틴어로는 ‘omnis’, 영어로는 ‘all’에 해당한다.그리스어 ‘.. 2025. 3. 26. 피레네산맥이 보인다는 도시, 포(Pau)와 루르드 맑은 날이면 멀리 피레네산맥이 보인다는 도시, 포(Pau).운 좋게도 하늘이 맑았다.말로만 듣던 피레네산맥이 선명하게 눈앞에 펼쳐졌다.그런데 풍경에 오래 머물 시간이 없었다.점심 예약 시간이 다가오고 있었고, 결국 도시를 한 바퀴 휘익 돌고는 그대로 지나쳤다.참 예쁜 도시였는데, 정작 눈에 담아야 할 건 거의 담지 못했다. 식당은 따로 예약해 두었던 타르브(Tarbes)에 있었다.이름도 기억에 남는 곳, L’empreinte라는 레스토랑.음식이 한 접시씩 차례로 나오는데, 나올 때마다 무슨 설명을 열심히 해준다.그런데 솔직히… 전혀 못 알아들었다.그럼에도 이상하게 안심이 되는 게, 어쨌든 다 맛있었다.특히 와인.프랑스에선 와인 병 크기도 다양하다.반 병도 있고, 3분의 2 병도 있다.애초에 병이 그렇.. 2025. 3. 26. 대서양의 바람을 따라, 비아리츠에서의 하루 비아리츠로 가는 길, 중간에 상장드뤼즈(Saint-Jean-de-Luz)라는 항구 마을에 잠시 들렀다.대단한 계획이 있었던 건 아니고, 지나가다 바다가 눈에 들어와 그냥 걸음을 멈췄다.잔잔한 물결 위에 배들이 조용히 정박해 있었고, 항구를 따라 늘어선 집들은 하얀 벽과 붉은 지붕으로단정하게 정리되어 있었다.멀리 보이는 둥근 종탑 하나가 이 마을의 시간을 지키는 듯 서 있었다.지나가는 사람들의 속도도 느렸고, 바람도 그 속도에 맞춰 불고 있었다.크게 무엇을 하지 않았지만, 한 바퀴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바다는 여느 때처럼 무심했고, 그 무심함이 오히려 마음을 놓이게 했다.잠깐 머문 이 마을을 뒤로하고 다시 차에 올랐다.상장드뤼즈(Saint-Jean-de-Luz)라는 항구 마을 그리고 다시 길을 달.. 2025. 3. 26. 염량세태(炎凉世態): 따뜻할 때만 가까운 사람들 언제부턴가 사람들의 태도는 날씨처럼 변덕스러워졌다. 햇살이 따스하면 웃으며 다가오지만, 구름이 끼고 바람이 차가워지면 금세 등을 돌린다. 세상살이가 늘 그러한 줄 알면서도, 사람은 그 차가움에 한 번씩 마음이 시려진다. 이런 세상의 모습은 오늘날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중국의 고전 속에는 이런 세태를 꿰뚫어 본 말이 있다. 바로 염량세태(炎凉世態). 불처럼 뜨거울 때는 붙지만, 식어버리면 차갑게 돌아서는 세상 사람들의 모습이다. 염량세태의 어원과 뜻‘염(炎)’은 불처럼 뜨거운 것을 뜻하고, ‘량(凉)’은 얼음처럼 차가운 상태를 의미한다. ‘세태(世態)’는 세상의 이치나 세상 사람들의 태도, 풍속을 뜻하는 말이니, 염량세태란 결국 “세상의 인심이 권세나 이익에 따라 뜨겁기도 하고 차갑기도 하다”는 의미가.. 2025. 3. 25.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가 죽고 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고사성어 ‘토사구팽’은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표현이다. 그러나 그 짧은 말에는 인간 관계의 본질과 권력의 비정함이 서늘하게 담겨 있다.이 말의 유래는 중국 전국시대, 한나라 초(楚漢戰爭)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유래 : 한신과 유방, 그리고 냉혹한 권력의 그림자이 말은 한나라의 초대 황제 유방(劉邦)과 명장 한신(韓信)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유방은 초나라의 항우와의 전쟁에서 수많은 전투를 치르며, 전략가 한신의 탁월한 지략에 크게 의지했다.한신은 항우의 군대를 각개격파하며 승리를 거듭했고, 결국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는 데 결정적 공을 세운다.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은 한신이 유방 곁에서 오랫동안 총애를 받을 것이라 여겼다. 그러나 천하가 유방의 손에 들어오자, 상황은.. 2025. 3. 25.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