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 신화의 아레스 vs 로마 신화의 마르스 그리스 신화의 아레스 vs 로마 신화의 마르스
본문 바로가기
그리스 로마 신화 다시 읽기/그리스신화와 로마신화 비교

그리스 신화의 아레스 vs 로마 신화의 마르스

by 리안과의 만남 2025. 3. 29.

아레스와 마르스 : 혼돈과 질서의 전쟁신

전쟁은 고대 세계에서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국가 간의 충돌, 영토 확장, 방어전 등에서 전쟁은 필연적으로 일어났으며, 이러한 전쟁을 관장하는 신이 존재했다. 그리스에서는 아레스(Ares), 로마에서는 마르스(Mars)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아레스와 마르스는 모두 전쟁을 담당하는 신이지만, 그들의 성격과 역할, 신화적 의미, 그리고 문화적 차이 속에서 뚜렷한 대비를 보인다. 아레스는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전쟁을 상징하는 신이라면, 마르스는 질서 있고 조직적인 전쟁을 통해 국가를 보호하는 신으로 발전했다.

그렇다면, 이 두 전쟁의 신은 어떻게 탄생했으며, 각각의 신화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 그리스와 로마에서 숭배된 방식은 어떻게 달랐을까?, 현대에서도 이들의 상징은 남아 있다.

 

그리스의 아레스와 로마의 마르스


탄생과 기원 : 신화적 배경의 차이

아레스 :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 그러나 외면받은 전쟁신

아레스는 제우스와 헤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러나 그의 존재는 신들 사이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아레스는 단순한 전쟁의 신이 아니라, 무차별적인 폭력과 유혈 사태를 즐기는 신으로 묘사된다.

《일리아스》에서 제우스는 아레스를 향해 이렇게 말한다.

“너는 신들 중 가장 혐오스럽다. 전쟁과 피비린내를 즐기며, 질서도, 정의도 모른다.”

아레스는 감정적이고 충동적이며, 전장에서 피를 흘리는 것 자체를 즐기는 신이었다. 그의 전쟁은 전략적인 것이 아니라, 혼란과 폭력을 동반한 무차별적인 전투였다.

그리스 신들조차 그를 좋아하지 않았다. 아레스는 오로지 전쟁을 통해 피를 흘리고, 혼란을 야기하는 신으로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그리스 전역에서 완전히 경멸받은 것은 아니었다.

  • 스파르타에서는 군사 중심 사회였기 때문에 아레스가 전사적 이상을 대표하는 신으로 숭배되었다.
  • 트라키아(Thrace) 지역(현재의 불가리아, 그리스 북부)에서는 전쟁의 신으로서 강한 신앙이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아테네와 같은 그리스의 주요 폴리스(도시국가)에서는 아테나(Athena)가 전쟁과 전략을 관장하는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아레스는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다.

 

감정적이고 충동적이며, 전장에서 피를 흘리는 것 자체를 즐기는 그리스의 신 아레스


마르스 :  로마의 보호자이자 농업의 신

반면,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아레스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다. 그는 단순한 전쟁의 신이 아니라, 국가의 보호자이자 농업과 번영을 담당하는 신이었다.

로마 건국 신화에서 마르스는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아버지로 등장한다.

로마의 창시자는 마르스의 아들이며, 이는 로마인들이 그를 "국가의 아버지"로 여겼음을 의미한다.

초기 로마 사회에서 전쟁은 단순한 정복이 아니라 국가를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졌다. 따라서 마르스는 무분별한 전쟁이 아니라, 조직적이고 전략적인 전쟁을 담당하는 신으로 숭배되었다.

또한, 초기 로마에서 농업은 국가 경제의 중심이었기 때문에, 마르스는 농업과 다산(번영)의 신으로도 숭배되었다.


아레스는 혼돈과 감정적인 전쟁을 상징한 반면, 마르스는 질서 있는 군사 전략을 통해 국가를 보호하고 번영시키는 신이었다.

 

무분별한 전쟁이 아니라,   조직적이고 전략적인 전쟁을 담당하는 로마의 신 마르스


성격과 상징: 혼돈과 질서의 대비

아레스: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신

아레스는 전장에서 전략보다 본능적이고 감정적인 충동에 의해 움직이는 신이었다. 그는 피를 흘리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심지어 그것을 즐겼다.

  • 《일리아스》에서 아레스는 아프로디테(Aphrodite)의 애인으로 등장하며, 전투에서 패배하고 신들로부터 조롱을 받는다.
  • 그리스 신화에서 아테나와 대비되는 존재로 등장하며, 무분별한 폭력의 신으로 그려진다.

아레스는 전쟁에서 무작위적인 폭력을 행사하며, 심지어 적과 아군을 가리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마르스: 국가의 수호자이자 문명의 전쟁신

반대로, 마르스는 로마의 군사적 성공을 책임지는 신으로 추앙받았다.

  • 그는 단순한 전쟁의 신이 아니라, 로마의 강한 군대와 제국 건설을 뒷받침하는 전략적인 전쟁을 관장했다.
  • 로마 황제들은 마르스를 자신들의 수호신으로 숭배하며, 제국을 확장하는 정당성을 그에게서 찾았다.

아레스는 무차별적인 전쟁을 상징하지만, 마르스는 전략적인 전쟁과 국가의 보호를 담당하는 신이었다.


현대에서의 의미: 전쟁과 국가적 상징

아레스 :  혼돈과 폭력의 상징

  • 현대 미디어에서 아레스는 전쟁을 즐기는 신으로 묘사됨.
  • 영화와 게임에서 무차별적인 전쟁을 상징하는 캐릭터로 등장.

마르스: 국가와 군대의 상징

  • NASA의 화성 탐사 프로젝트(Mars Rover, Mars Mission)는 로마 신 마르스에서 유래됨.
  • 유럽의 군사 작전 및 군대 기념물에서 마르스의 이름이 여전히 사용됨.

아레스는 충동적이고 파괴적인 전쟁의 신, 마르스는 국가적 질서와 군사 전략을 상징하는 신으로 현대까지 남아 있다.

 

NASA의 화성 탐사 프로젝트(Mars Rover, Mars Mission)는 로마 신 마르스에서 유래

 


두 전쟁신의 본질적인 차이

아레스와 마르스는 모두 전쟁의 신이지만, 그 의미와 역할은 완전히 달랐다.

  • 아레스는 감정적이고 무질서한 전쟁을 대표, 그리스에서는 신들조차 경계한 신이었다.
  • 마르스는 조직적이고 국가 중심의 전쟁을 담당, 로마 제국의 중심 신으로 숭배되었다.

이 차이는 그리스와 로마의 전쟁관과 국가적 가치관을 그대로 반영하며, 현대에도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 있다.